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과 생각에 대한 단상 한나 아렌트 소개 한나 아렌트는 독일 태생의 철학자로 히틀러 정권 출범 후 반 나치 운동을 벌이다 1941년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그녀는 미국의 잡지 특파원 자격으로 독일의 나치 친위 장교였던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에 참관하여 이 재판의 기록을 으로 남기면서 '악의 평범성'의 개념을 처음 이야기하였다. 즉, 아이히만의 범죄는 그가 너무나 '평범했기'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이다.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유대인 학살이라는 엄청난 범죄를 저지른 아이히만의 정신과 검진 결과는 '정상'이었다. 또한 그는 누구나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이었으며, 심지어 가정적인 사람이기까지 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성실함, 가정적인 모습이 어쩌면 비극의 요인이 되었을 지도 모른다. 왜냐면 그는 히틀러 직속에.. 2023. 4. 14.
푸코의 현대 권력 양상 그리고 존재의 미학 푸코의 시대진단 푸코는 근대적 시대정신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에게 권력으로 작동하여 억압과 지배를 낳는 양상을 비판하고 인간을 규정할 수 없는 그 무엇으로 다양한 가능성이 공존하는 존재로 보았다. 또한 푸코의 작업 중 주목해야 할 것은 푸코가 권력을 이전 시대의 모습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푸코에 의하면 권력이란 더 이상 국가, 정부, 사회와 같은 거대 담론의 차원에서 진행되는 힘이 아니다. 오히려 권력은 개별집단, 다양한 인간관계, 경제적 생산 기구 등과 같은 미시적 차원에 침투하여 탈집중화 된 모습으로 작동한다. 이때 권력은 다른 힘을 누르고 억압하는 방식이 아닌, 힘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러한 권력양상은 인간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그것은 .. 2023. 4. 14.
들뢰즈의 존재론, 인간관, 욕망론: 줄 개념과 반시대적 전쟁 기계에 근거하여 들뢰즈의 존재론, 인간관, 욕망론을 줄 개념과 반시대적 전쟁 기계에 근거하여 해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들뢰즈의 존재론 들뢰즈가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종합적 시각은 '일의적 존재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의적 존재론은 내재주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즉 인간의 존재원리는 신이나 초월자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이미 내재된 것으로써 존재한다. 또한 일의적 존재론에서는 분간 불가능성을 이야기 할 수 있는데, 존재는 결코 존재자들과 분리하거나 나눌 수 없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는 곧 존재와 존재자들 사이에 우위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는 곧 기존에 존재와 존재자들 사이에 우위관계를 나누어 생각했던 플라톤과 같은 기존 서양철학에 대한 비판적 관점으로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존재론에 따.. 2023. 4. 14.
황진이 시 해석 및 감상 양반에 대한 저항: 동짓달 기나긴 밤을, 청산리 벽계수야, 소세양과의 이별을 맞이하며 지난 글 황진이의 시 해석 및 감상 이별을 주제로 한 글을 이어서 풀이하고, 다음으로 양반에 대한 저항을 주제로 한 시 , 를 해석해 보겠습니다. 이별을 주제로 한 시 (3) 동짓달 기나긴 밤을 어져 내일이야~와 마찬가지로 황진이의 시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밤'이라는 어둡지만 환상적인 시간적 배경에, '봄바람'이라는 낭만적 소재가 들어가 작품이 전체적으로 몽환적인 느낌이 든다. 긴 밤을 잘라서 이불 속에 간직했다가, 님이 오시면 펼쳐 놓겠다는 발상은 대단히 창의적이다. 그만큼 님과 긴 시간을 함께 하고픈,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 잘 담겨진 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리서리', '굽이굽이'등의 의태어 사용으로 시조가 한층 더 재밌게 느껴졌다. 또한 님을 생각하는 마음이 얼마나 깊으면 .. 2023.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