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7 함석헌의 시간관과 자유의 내면 정치학 함석헌의 시간관과 자유의 내면 정치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석헌의 시간관은 그리스도교적 시간관과 진화론이 결합한 흥미로운 성격입니다. 함석헌의 시간관 함석헌의 시간관은 신의 자유의지를 전제한 그리스도교적 시간관과 진화론이 결합한 결과로 흥미로운 성격을 가진다. 현재 시점은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열려 있으면서도 회상과 희망에 의해 새로운 창조적 활동이 시작되는 결정적 기점이다. 현재 시점은 수평적으로는 과거에서 오는 회상과 미래에서 오는 희망이 집중하는 시간이고, 수직적으로는 영원자와의 상승, 하강(초월과 은총)의 관계가 이루어지는 중심이다. 이러한 십자 좌표 아래에 피조물의 진화사가 구성된다. 현재 시점까지 전개된 우주사는, 신의 시야 안에 있던 무수한 가능성들 가운데 그의 '자유의지'가 선택한.. 2023. 4. 14. 데리다의 철학 서구 형이상학 해체와 타자 데리다의 서구 형이상학 해체 데리다의 대표적 철학 작업은 '해체'로 이는 서구 문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형이상학적 사고에 대한 성찰과 비판을 뜻한다. 서구의 형이상학적 사고는 이성과 감성, 남성과 여성, 영혼과 육체 등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사고이며, 그러한 인분법적 사고로부터 우열과 열등이라는 위계적 질서가 부여된다.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서구의 형이상학적 믿음 중 하나는 '말'은 현전성을 가졌기에 우월하며 '글'은 그것을 쓰는 사람, 즉 발화자로부터 멀어져 있으므로 현전성이 삭제되고 진실과 멀어진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러나 데리다는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를 해체하며, 발화자의 현전을 전제로 한 진실의 담지자로서의 '말'은 허구적 신화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이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2023. 4. 14. 푸코의 판옵티콘과 신자유주의적 시간에 대해 푸코의 판옵티콘 판옵티콘의 어원은 그리스어에서 비롯되었다. '모두'를 뜻하는 'pan'과 '본다'의 'opticon'이 합쳐진 것이다. 이 단어를 제일 먼저 떠올린 건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다. 그는 이러한 이름을 지닌 교도서의 형태를 제안했다. 판옵티콘은 교도소의 중심에 위치한 감시자들이 외곽에 위치한 수감자들을 감시하지만, 수감자들은 감시자들의 위치와 중심을 알 수 없도록 설계되었다. 이때문에 죄수들은 감시자들이 자신들을 감시하지 않는 순간까지 감시 당한다는 느낌에 행동을 조심하게 된다. 푸코가 이 개념을 철학적으로 끌고 온 것은 에서 현대의 컴퓨터 통신망과 데이터 베이스가 이와 같은 '판옵티콘'처럼 개인을 감시하고 통제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개인 정보 등이 권력 .. 2023. 4. 14. 꿀과 연기 냄새가 나는 소녀를 읽고 책 리뷰 꿀과 연기 냄새가 나는 소녀를 읽고 책 리뷰 꿀과 연기 냄새가 나는 소녀 책 리뷰이다. 책의 줄거리는 난해하다. 하나의 서사로 묶이기보다 단편적인 동화가 곳곳에 흩뿌려진 느낌이다. 소설 속에는 '2월'이 등장한다. 평소 날짜를 세는 개념 정도로만 생각했던 '2월'이 의인화 되어 나타나는 점이 신선했다. 작가의 상상력처럼 12개월을 각각 사람으로 표현하면 어떠한 모습이 될까. 정체를 알 수 없는 '2월' 소설 속에는 계절의 상징이자 조물주의 모습으로 '2월'이 등장한다. 소설 속에 그려진 것처럼 '2월'은 실제로 겨울과 봄 사이에 존재하는 달이다. 그러나 겨울은 끝나지 않고 2월은 계속된다. 소설 속 사람들은 눈, 추위, 얼음과 같은 겨울이 끝나기를 바라지만 조물주를 상징되는 2월은 그것을 끝내려하지 않는.. 2023. 4. 14. 이전 1 ··· 20 21 22 23 24 25 다음 반응형